quid pro quo 상호주의, 동등한 교환, 쿠이드 프로 쿠오 (퀴드 프로 쿼)
quid pro quo : 상호주의, 동등한 교환 quid prō quō. 발음 : 꾸이드 쁘로- 꾸오- 직역 : 뭔가에 대한 뭔가(something for something) * qu는 자음이다. qu에서 u는 모음이 아니라 자음 w이므로 독립적인 음절을 형성하지 않으며, 액센트는 음절을 구성하는 모음에 표시한다. 1) 사전적 뜻 ⓐ 어떤 것을 대신하는 다른 어떤 것, 상호주의, 호혜성 원칙, 호혜주의 ⓑ 대체약물(효능이 같은 다른 약물) * 이 어구의 어원이지만 현재는 이런 뜻으로 쓰이지 않음. ⓒ 가치가 동등한 물물교환(화폐를 매개하지 않은), 동등한 교환 2) 설명 직역하면 '뭔가에 대한 뭔가'이다. 의역하면 '꽃에는 꽃으로, 주먹에는 주먹으로'라는 뜻이다. 이 라틴어 어구를 라틴어로 설명하면, ..
2023. 4. 21.
이런 사람은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고, 있을 수도 없다.
이런 사람은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고, 있을 수도 없다. Non est hic vir, neque erit, neque fuerit. Nōn est hic vir, neque erit, neque fuerit.(장음표시) 논- 에스뜨 힊 위르, 네꿰 에리뜨, 네꿰 푸에리뜨. 이런 사람은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고, 있을 수도 없다. [덧붙이는 말] 호메로스의 오뒷세이아의 라틴어 버전 16권 437행에 나오는 문장이다. 에우뤼마코스가 페넬로페의 아들 텔레마코스를 칭찬하면서 '그에게 완력을 쓰려는 사람은 지금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고, 그리고 있을 수도 없다'라고 한 말이다. 글의 맥락을 모르고 읽었을 때 도대체 이런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궁금했었다. [라틴어 설명] ㅇ hic, haec, hoc ..
2023. 4. 20.
빈용 동사 ① 주어의 행동이나 상태 변화와 관련된 동사
빈용 동사 ① 주어의 행동이나 위치 변화와 관련된 동사 eo (stem i - or e-) iturus : go 뜻 : 가다 기본형 : eō, īre, iī or īvī, itūrus : 가다(불규칙) 기본형 : eō, īre, iī or īvī, itum : 가다(불규칙) * 윅셔너리에 의함. 발음 : 에오-, 이-레, 이이- 또는 이-우이-, 이뚬~ * itūrus itūra itūrum : 가려고 하는, 일어날(미래분사 능동) ☞ 윅셔너리에서는 eō에 타동사의 뜻을 포함하여 정리하고 있다. ▷ abeo : go away 뜻 : 가다, 떠나가다, 변하다, 은퇴하다 어원 : ab(~로부터) + eō(가다) 기본형 : abeō, abīre, abiī, abitum 발음 : 아베오-, 아비-레, 아비이-,..
2023. 4. 19.
모음 i와 자음 i의 발음 - ia, ie, iu, io, ii 등의 발음
모음 i와 자음 i의 발음 - ia, ie, iu, io, ii 등의 발음 - 라틴어라틴어 ‘ i + 모음’의 발음은 매우 까다로워 보이는데 설명을 찾지 못하여 직접 정리해 보았다.1) i + 모음에서 i의 발음고대 로마인들은 모음 ‘이 [i]’와 반모음 ‘이 [j]’의 발음을 의식적으로 구별하지 않은 듯하다. 아니면 발음법 자체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여 j음이 새로 형성되었을 수 있다. 어찌되었든 로마시대 라틴어에서는 모두 i로 표기하였다. 영어의 예를 들면, tough(거친)는 ‘터프’라고 발음하고, stop(멈춤)은 ‘스땊’에 가깝게 발음하지만, 영미인들은 t음을 ㅌ와 ㄸ로 구별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무의식적으로 같은 소리로 여긴다. 고전 라틴어의 i 발음을 두 가지로 구별하려는 관행은 중..
2023. 4. 13.
명령법 미래시제 2인칭과 3인칭 - 라틴어 동사
명령법 미래시제 2인칭과 3인칭 - 라틴어 동사 1)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명령법에는 ① 현재시제와 ② 미래시제 등 2가지가 있다. * 미래 명령법 단수변화는 능동태 수동태 모두 2인칭과 3인칭이 서로 같다. 2) 명령법 미래 2인칭(1) 명령법 미래 2인칭 어형변화(단수, 복수) ① 능동변화(명령법 미래 2인칭) 단수 : 어근..
2023. 4. 12.
명령법 현재 2인칭 변화 - 라틴어 동사
명령법 현재 2인칭 변화 - 라틴어 동사 1)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명령법에는 ① 현재시제와 ② 미래시제 등 2가지가 있다. 명령법 과거는 불가능한 형용모순이다. 2) 명령법 현재 2인칭 어형변화(1) 명령법 현재 능동의 특징 * 단수는 모두 어근+연결모음 형태이다. * 복수는 어근+연결모음+te 형태이다. ☞ 단수는 원래의..
2023. 4. 12.
접속법 과거완료 수동태
접속법 과거완료 수동태 1) 접속법 과거완료 수동태의 어형변화(1) 예시 동사의 기본적인 수동형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어형변화 요약 접속법 과거완료시제 수동태 = 완료분사 + essem, essēs, esset, essēmus, essētis, essent (또는, 완료분사 + essē + m, s, t, mus, tis, nt) * 표에서 ..
2023. 4. 12.
접속법 완료시제 수동태
접속법 완료시제 수동태 1) 접속법 완료시제 수동태의 어형변화(1) 예시 동사의 기본적인 수동형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어형변화 요약 접속법 완료시제 수동태 = 완료분사 + sim, sīs, sit, sīmus, sītis, sint * 표에서 3, 3io, 4활용 동사는 미래완료시제 남성형만 표시함 * 접속법 완료시제 수동태 = 완료분사 + s..
2023. 4. 11.
접속법 미완료시제 수동태
접속법 미완료시제 수동태 1) 접속법 미완료시제 수동태 어형변화(1) 예시 동사의 기본형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어형변화 요약(접속법 미완료 수동태) 부정사형 + r, ris, tur, mur, minī, ntur * 어근 + 연결모음 + rē + 수동태 어미 ㅇ 동사의 구조 : 어근 + 연결모음 + rē(접사) + 어미 ☞ 부정사형 + r, ri..
2023. 4. 10.
접속법 현재시제 수동태의 어형변화
접속법 현재시제 수동태 1) 접속법 현재시제 수동태의 어형변화(1) 예시 동사의 수동태 기본형 1활용 수동태 : amor, amārī, amātus sum : 사랑받다 2활용 수동태 : moneor, monērī, monitus sum : 경고를 받다, 권유를 받다 3활용 수동태 : pōnor, pōnī, positus sum : 놓여지다 3io활용 수동태 : capior, capī, captus sum : 잡히다 4활용 수동태 : sentior, sentīrī, sēnsus sum : 느껴지다, 인지되다 * 수동태 기본형은 별도로 없다. 기본형이 수동형인 동사(탈형동사)의 기본형 형식과 같다. (2) 어형변화 요약 * 현재 접속법 접사 : ē(1활용) 또는 ā(2-4활용) ㅇ 동사의 구조 : 현재시제 ..
2023. 4. 9.
접속법 과거완료시제 능동태 변화
접속법 과거완료시제 능동태 변화 1) 접속법 과거완료 능동태(1) 예시동사 1활용 : amō, amāre, amāvī,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어형변화 요약 * 완료어간 + issem, issēs, isset, issēmus, issētis, issent * 과거완료 접속법 접사 : vi+ssē 또는 i+ssē sum의 미완료 : essem, essēs, esset, essēmus, es..
2023. 3. 28.
접속법 완료시제 능동태 변화
접속법 완료시제 능동태 변화 1) 접속법 완료시제 능동태 어형변화 (작성중)(1) 예시동사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어형변화 요약 접속법 접사 rī가 인칭어미(m, s, t, mus, tis, nt) 앞에 온다. 동사의 구조 : amā(어근+연결어미) + ve(완료접사) + rī(접속법 접사) + m(인칭어미) 가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활용..
2023. 3. 28.
접속법 미완료시제 능동태 변화
접속법 미완료시제 능동태(작성중) 1)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접속법 미완료 능동태 변화어간과 어미 사이에 모두 rē가 온다. (접속법 현재시제는 ē와 ā) * 어미 끝에 있는 m, r, t 앞에 오는 장모음은 단모음으로 바뀐다. * 어미에 포함된 nd나 nt 앞에 오는 장모음은 단모음으로 바뀐다.가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
2023. 3. 27.
접속법 현재시제 능동태의 어형변화
접속법 현재시제 능동태접속법은 가상적 상황을 나타낸다. 라틴어에서는 접속법 자체에 미래의 의미가 포함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미래시제와 미래완료시제는 없다. 접속법 현재와 접속법 완료시제가 미래의 일을 나타낸다. 1)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접속법 능동태 변화(1) 현재시제 접속법 능동 * 1활용 동사는 어근과 어미 사이에 ē를..
2023. 3. 27.
접속법 수동태 어형변화 요약 - 라틴어 동사
라틴어 동사 접속법 수동태 어형변화 요약 1)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2) 접속법 수동태 어형변화 (1) 접속법 현재시제 수동태 * 현재 접속법 접사 : ē 또는 ā ㅇ 구조 : 현재시제 어간 + 접사 + 어미 * 1활용은 접속법 접사가 ē이고, 나머지는 ā이다. ☞ 접사 ē와 ā는 어미 r, m, t 앞과 nt 앞에서는 단모음으..
2023.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