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

라틴어 완료분사의 어형변화 라틴어 완료분사의 어형변화 1) 완료분사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1) 동사 종류별 완료분사 예시 1활용 : amātus, amāta, amātum 사랑받은 2활용 : monitus, monita, monitum 경고된 3활용 : positus, posita, positum 놓인 3io활용 : captus, capta, captum 잡힌 4활용 : sēnsus, sēnsa, sēnsum 감각된, 인지된 ☞ 완료분사는 여러 규칙에 의해 형성되므로, 어형을 별도로 기억해야 한다. 동사의 4가지 기본형에 완료분사가 포함된 이유이다. ☞  완료분사 중성과 수피눔('목적분사')은 형태가 서로 같다. (2) 완료분사의 구조 ◈ 완료분사 어간(amāt) + 어미(us, a, um)= 어근 또는 모음어간 + to(접사) .. 2022. 1. 4.
어휘와 어형 _ 1권 2장 1-2절 (갈리아 전쟁기) 어휘와 어형 _갈리아 전쟁기 1권 2장 1-2절 2.1 ㅁ sum, esse, fuī, futūrum(미래분사) : ~이다. ☞ 직설법의 변화(단수 1 2 3, 복수 1 2 3 순서) 현재 : sum, es, est, sumus, estis, sunt 미완료 : eram, erās, erat, erāmus, erātis, erant 미래 : erō, eris [ere], erit, erimus, eritis, erunt 완료 : fuī, fuistī, fuit, fuimus, fuistis, fuērunt [fuēre] 과거완료 : fueram, fuerās, fuerat, fuerāmus, fuerātis, fuerant 미래완료 : fuerō, fueris, fuerit, fuerimus, fueri.. 2022. 1. 3.
갈리아 전쟁기 1권 2장 섹션 1-2 라틴어 원문과 해석 갈리아 전쟁기 1권 2장 섹션 1-2* 섹션번호는 Hering(Teubneriana, 1987)를 기준으로 하고 Pontet(OCT, 1900)를 참고하였다.2.1 Apud Helvetios longe nobilissimus fuit et ditissimus Orgetorix.  Apud Helvētiōs longē nōbilissimus fuit et dītissimus Orgetorīx. (번역) 헬베티우스인들 중에서 오르게토릭스가 가장 명망이 높고 부유하였다.  (어휘) Apud(아뿌드, ~중에서, 전치사) Helvētiōs(헬웨-띠오-스, 헬베티우스인들, 남성 대격 복수) longē(롱게-, 가장, 부사, 최상급 강조) nōbilissimus(노-빌릿시무스, 가장 유명한, 최상급).. 2022. 1. 3.
로마인들의 이름에 대한 이야기 로마인들의 이름 이야기 1) 1개짜리 이름과 2개짜리 성명(duo nomina) 조선시대 전국에 걸쳐 얼마나 많은 마당쇠와 돌쇠와 유월이가 있었을까? 모든 마을마다 최소한 몇 명의 마당쇠가 있었을 것이다. 동명이인이 그렇게 많은데도 사회에 큰 혼란이 초래되지 않은 것은 그들의 활동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최참판댁 마당쇠, 김진사댁 마당쇠 정도면 충분했던 것 같다. 그런데 그들이 자유인이었으면 어땠을까? 자유인이었던 로마 시민들은 다른 과정을 밟았다. 로마의 황금기 시대 로마식 이름의 전형적인 형태는 개인이름 + 씨족이름 + 가족이름(성씨) praenōmen + nōmen + cōgnōmen 퍼스트 네임 + 미들 네임 + 라스트 네임 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그.. 2022. 1. 3.
갈리아 전쟁기 1권 1장 섹션 5-7 - 라틴어 원문과 해석 갈리아 전쟁기 1권 1장 섹션 5-7 이들 중 한 지역은 갈리아인(켈트인)들이 정착하고 있다고 1.5 Eorum una pars, quam Gallos obtinere dictum est, initium capit a flumine Rhodano, continetur Garumna flumine, Oceano, finibus Belgarum, attingit etiam ab Sequanis et Helvetiis flumen Rhenum, vergit ad septentriones.  Eōrum ūna pars, quam Gallōs obtinēre dictum est, initium capit ā flūmine Rhodanō, continētur Garumnā flūmine, Ōceanō, fīnibu.. 2021. 11. 26.
갈리아 전쟁기 1권 1장 섹션 3-4 _ 라틴어 원문과 해석 갈리아 전쟁기 1권 1장 섹션 3-4  이들 모두 중에서 벨기움인들이 가장 용감하다1.3 Horum omnium fortissimi sunt Belgae, propterea quod a cultu atque humanitate provinciae longissime absunt, minimeque ad eos mercatores saepe commeant atque ea quae ad effeminandos animos pertinent important, proximique sunt Germanis, qui trans Rhenum incolunt, quibuscum continenter bellum gerunt.  (장음표시)Hōrum omnium fortissimī sunt Belgae, propte.. 2021. 11. 24.
라틴어 현재분사의 어형변화 라틴어 현재분사의 어형변화  1) 현재분사 구조현재분사의 구조 : 어근 + āns 또는 ēns, iēns(속격 -ntis) ⓐ 1활용 : 어근 + āns(속격 -āntis) ⓑ 2, 3활용 : 어근 + ēns(속격 -ēntis) ⓒ 3io, 4활용 : 어근 + i + ēns(속격 -ēntis) (예시)(1) amō, amāre, amāvī, amātum: 사랑하다(1변화 동사) 현재분사 능동 : amāns (2) videō, vidēre, vīdī, vīsum 보다 (2변화 동사) 현재분사 능동 : vidēns (3) agō, agere, ēgī, āctum 만들다, 운영하다(3변화 동사) 현재분사 능동 : agēns * agens가 아님. (4) capiō, capere, cēpī, captum 잡다,.. 2021. 10. 22.
고전 라틴어에는 중동태 또는 중간태가 없었다 고전 라틴어의 중동태 또는 중간태에 대하여 1) 고전 라틴어에는 중동태가 없었다. 고전 라틴어에는능동태와 수동태만 있었다. 중동태 또는 중간태는 없었다. 반면에 고대 그리스어에는 중동태가 있었다. 라틴어의 중동태는 중세 라틴어(Medieval Latin)에서 그리스어 성경의 중동태 문장을 라틴어로 표현하기 위하여, 수동태 형식의 동사를 능동의 의미로 사용하는 중동태 용법을 도입한 것이다(출처 : Wikipedia, Medieval Latin). 엄밀하게 말하면, 탈형동사(디포넌트 동사) 형태로 그 잔재가 남아있던 원시 라틴어의 중동태 용법을 다시 부활시킨 것이다. 탈형동사는 기본형이 수동태이면서 뜻은 능동이므로 동사의 중동태 용법과 유사하다. 서로 다른 점은 탈형동사는 중동태 동사와 달리 능동형이 따로 .. 2021. 8. 15.
갈리아 전쟁기 1권 1장 섹션 1-2 - 라틴어 원문과 해석 갈리아 전쟁기 1권 1장 섹션 1-2 -  라틴어 원문과 해석☞ 장과 절은 토이브네리아(Teubneriana) 시리즈로 발간된 헤링의 Caesaris commentarii Bellum Gallicum (Wolfgang Hering, Teubner, 1987)과, 천병희 선생이 번역의 대본으로 삼았던 옥스포드 고전 텍스트(Oxford Classical Texts)인 퐁테의 Caesaris Commentariorum De Bello Gallico(Renatus du Pontet, 1900)를 기준으로 하였다. ☞ 페르세우스에서 사용하는 라틴어 원문은 C. Julius Caesar, De bello Gallico(T. Rice Holmes, Ed.)의 구분을 따르고 있다.  만약 이 글이 좀 어렵게 느껴지면 .. 2021. 7. 30.
갈리아 전쟁기 라틴어 원문과 해석 카테고리 글 목록 갈리아 전쟁기 라틴어 원문과 해석 목차1권 1장 섹션 1-2 갈리아는 모두 세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다.1권 1장 섹션 3-4 이들 모두 중에서 벨기움인들이 가장 용감하다1권 1장 섹션 5-7 이들 중 한 지역은 갈리아인들(켈트인들)이 정착하고 있다1권 2장 섹션 1-2 헬베티우스인들 중에서 오르게토릭스가 가장 명망이 높고 부유하였다.1권 2장 섹션 3-5 이런 이유로 이주하는 것을 그들에게 더 쉽게 설득하였다.    1권 3장 섹션 1-2 이런 상황들에 유혹되었고 오르게토릭스의 설득에 자극되어  1권 3장 섹션 3-5 그는 스스로 다른 부족들을 상대할 특사를 맡았다.1권 3장 섹션 6-8 이 시도들을 성취하는 것이 수행하기에 매우 쉽다고  1권 4장 섹션 1 이 일은 밀고를 통하여 헬베티우스인들에게1권 .. 2021. 6. 26.
창세기 1장 라틴어 원문만 _ 읽기 연습용 창세기 1장 라틴어 원문만 _ 읽기 연습용Genesis 1  창세기 1장 01-05절 1일째 하늘과 땅과 빛을 창조하다.  1. In prīncipiō creāvit Deus caelum et terram. 2. Terra autem erat inānis et vacua, et tenebrae super faciem abyssī, et spīritus Deī ferēbātur super aquās. 3. Dīxitque Deus: “Fīat lūx". Et facta est lūx. 4. Et vīdit Deus lūcem quod esset bona et dīvīsit Deus lūcem ac tenebrās. 5. Appellāvitque Deus lūcem diem et tenebrās noctem.. 2021. 6. 26.
창세기 1장 24-31절 6일째 _ 라틴어 성경 원문과 해석 창세기 1장 24-31절 6일째 육상동물과 사람을 만들다   24.  Dixit quoque Deus: “Producat terra animam viventem in genere suo, iumenta et reptilia et bestias terrae secundum species suas". Factumque est ita. 24.(장음표시)Dīxit quoque Deus: “Prōdūcat terra animam vīventem in genere suo, iūmenta et rēptilia et bēstiās terrae secundum speciēs suas". Factumque est ita. (공동번역) 하느님께서 "땅은 온갖 동물을 내어라! 온갖 집짐승과 길짐승과 들짐승을 내어라!" 하시자.. 2021. 6. 22.
창세기 1장 20-23절 5일째 _ 라틴어 성경 원문과 해석 1장 20-23절 5일째 바다동물과 나는 동물을 창조하다 20. Dixit etiam Deus: “Pullulent aquae reptile animae viventis, et volatile volet super terram sub firmamento caeli".   20.Dīxit etiam Deus: “Pullulent aquae rēptile animae vīventis, et volātile volet super terram sub firmāmentō caelī".  (공동번역) 하느님께서 "바다에는 고기가 생겨 우글거리고 땅 위 하늘 창공 아래에는 새들이 생겨 날아다녀라!" 하시자 그대로 되었다. (어휘) Dīxit(말하였다, 완료 3인칭 단수) etiam(또한) Deus(신은): “Pull.. 2021. 6. 20.
라틴어는 가능한 한 항상 소리내어 읽으십시오 Tam bene quam potestis semper linguam Latinam pronuntiate, discipuli et discipulae! Tam bene quam potestis semper linguam Latīnam prōnūntiāte, discipulī et discipulae!(장음표시) (발음) 땀~ 베네 꾸암~ 뽀떼스띠스 셈뻬르 링구암~ 라띠-남~ 쁘로-눈-띠아-떼, 디스끼뿔리- 에ㄸ 디스끼뿔라이! (번역) 학생 여러분! 라틴어는 가능한 한 항상 소리내어 읽으십시오. (직역) 당신들이 할 수 있는 한 항상 라틴어는 소리내어 읽으십시오, 남학생들 그리고 여학생들이여! (영문) Always, students, PRONOUNCE Latin as well as you can!" (직역).. 2021. 6. 20.
창세기 1장 14-19절 4일째 _ 라틴어 성경 원문과 해석 창세기 1장 14-19절 4일째 해와 달과 별을 만들다 14. Dixit autem Deus: “Fiant luminaria in firmamento caeli, ut dividant diem ac noctem et sint in signa et tempora et dies et annos, 14. Dīxit autem Deus: “Fīant lūmināria in firmāmentō caelī, ut dīvidant diem ac noctem et sint in signa et tempora et diēs et annōs,(공동번역) 하느님께서 "하늘 창공에 빛나는 것들이 생겨 밤과 낮을 갈라놓고 절기와 나날과 해를 나타내는 표가 되어라! (직역) 그런데 신은 말하였다, "하늘의 창공에서 빛이 생겨나라.. 2021. 6.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