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

라틴어 마르코 복음(마가복음) 카테고리 글 목록 라틴어 마르코 복음(마가복음) 1장 1절-8절1장 9절-20절1장 21절-28절1장 29절-34절1장 35절-45절 2020. 12. 30.
교회 라틴어 발음 정리 _ 불가타 라틴어 발음 불가타 라틴어(교회 라틴어)의 발음 정리 아래 내용을 제외하면 '거의' 글자 생긴 대로 발음한다. 즉 고전 라틴어와 발음이 같다. 발음에 쓰인 붉은 글자는 강세를 의미한다. 1. 교회 라틴어 발음 요약 1) g와 c의 발음 “에이-쥐, 에이-취” (1) c : 취[ t͡ʃ] c가 “에(ae, oe, e)”와 “이(i, y)” 발음 앞에 있으면 ‘취’ 로 발음된다. cae, coe, ce : 췌[t͡ʃɛ] ci, cy : 취 caelum 하늘 (교회발음) 췔-룸 (2) g : 쥐[d͡ʒ] g가 “에(ae, oe, e)”와 “이(i, y)” 발음 앞에 있으면 ‘쥐’ 로 발음된다 gae, goe, ge : 줴, gi, gy : 쥐 ager 밭, 전원, 들판 (교회발음)아줴르 * '에이-쥐' '에이-취' 대신 .. 2020. 12. 29.
스킨틸라와 호라티아 Scintilla and Horatia at home Scintilla and Horatia at home (출처 - Oxford Latin Course 제1과) Scintilla in casā labōrat; fessa est. (발음) 스낀띨-라 인 까사- 라보-라뜨; 펫사 에스뜨 Scintilla 스킨틸라(-a로 끝나면 여성 인명, 명사 1변화) in casā 집에서 casā(탈격, 처격) labōrat 그녀는 일하고 있다. fessa : 피곤한(fessus, fessa, fessum, 1/2변화 형용사) est : 이다. (번역) 스킨틸라가 집에서 일하고 있다. 그녀는 피곤하다. Horātia in casam intrat; iēiūna est. (발음) 호라-띠아 인 까삼~ 인뜨라뜨; 예-유-나 에스뜨 in casam 집으로. casam(대격) in.. 2020. 12. 29.
라틴어 최다 빈용어휘 카테고리 글 목록 라틴어 최다 빈용 어휘 라틴어 최다 빈용 어휘에 대한 설명 1) 명사 신, 시간, 하늘 - 명사 ①불, 물, 땅 - 명사 ②식물, 음식, 동물 - 명사 ③사람, 몸, 마음, 감정 - 명사 ④말, 글, 일과 놀이, 도시와 건물 - 명사 ⑤ 군사, 정부, 사회생활 - 명사 ⑥나쁨, 죽음, 추상어 및 미분류 - 명사 ⑦2) 대명사대명사 ① 1, 2인칭 대명사대명사 ② 3인칭 대명사, 지시대명사대명사 ③ 비한정 대명사 등      3) 동사빈용 동사 ① 주어의 행동이나 상태 변화와 관련된 동사빈용 동사 ② 목적어의 위치변화와 관련된 동사빈용 동사 ③ 주어의 상태변화와 관련된 동사빈용 동사 ④ 목적어의 상태변화와 관련된 동사빈용 동사 ⑤ 긍정적 또는 건설적 활동과 관련된 동사빈용 동사 ⑥ 부정적인 활동과 관련된 .. 2020. 12. 28.
sum 동사의 현재, 미완료, 미래시제(esse 동사의 변화) sum 동사의 변화☞ 라틴어 sum 동사는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한다. 완료시제 수동태 등에서 활용되므로, 현재시제, 미완료시제 그리고 미래시제 3가지 시제의 어형변화를 먼저 소개한다.기본형 : sum, esse, fuī, futurum. 있다, 존재하다, ~이다.* 자동사이므로 수동변화형은 없다. 4번째 기본형은 완료분사가 아니고 미래분사이다. 라틴어는 현재분사는 능동형만 있고 완료분사는 수동형만 있다. 1) 직설법(indicative) 예문)(예문1) Cōgitō, ergo sum. - René Descartes 꼬-기또-, 에르고 숨~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르네 데카르트 (예문2) dubitō, ergo cōgitō, ergo sum. - René Descartes 두비또-,.. 2020. 12. 27.
라틴어 동사 접속법, 능동태와 수동태의 어형변화 접속법 능동태와 수동태의 어형변화 요약 직설법 어형변화 전체를 조망해본다. ◈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1) 현재시제 접속법 (1) 접속법 현재시제 능동태 * 현재 접속법 접사 : ē 또는 ā ㅇ 구조 : 현재시제 어간 + ē 또는 ā + 어미 * 어미 암송 : m, s, t, mus, tis, nt(음, 스, 뜨, 무스, 띠스, .. 2020. 12. 27.
라틴어 동사 직설법, 능동태와 수동태의 어형변화 요약(시제기준) 라틴어 동사 직설법, 능동태와 수동태의 어형변화(시제기준)직설법 동사변화 전체를 조망해본다. ◈ 예시 동사의 기본형과 뜻 1활용 : amō, amāre, amāvi, amātum : 사랑하다 2활용 : moneō, monēre, monuī, monitum : 경고하다, 권유하다 3활용 : pōnō, pōnere, posuī, positum : 놓다 3iō활용 : capiō, capere, cēpī, captum : 잡다 4활용 : sentiō, sentīre, sēnsī, sēnsum : 느끼다 1) 현재시제 직설법 (1) 현재시제 능동태* 어미 암송 : 오-, 스, 뜨, 무스, 띠스, 은뜨(2) 현재시제 수동태☞ 라틴어 현재시제는 대체로 미완료 시상(진행시상)을 가지고 있지만, 단순 시상으로도 쓰인다... 2020. 12. 25.
라틴어로 본 라틴어 문법용어 LATIN, ABBREVIATIONS, ENGLISH, 한글용어 순서로 적음 ablātīvus (cāsus 격) abl. ablative 탈격 아블라-띠-우우스 accūsātīvus (cāsus) acc. accusative 대격 앆꾸-사-띠-우우스 āctīvum (genus 태/성) āct. active 능동태 앆-띠-우움~ adiectīvum(nōmen) ad.i adjective 형용사 아뎪띠-우움~ adiectīvum possessīvum(복수 : adiectīva possessīva) 소유형용사 adverbium, adverbiī, n. adv. adverb 부사 아뒈르비움~, 아뒈르비이- aoristum 아오리스트, 비한정, 무정 (인도유럽어에서 시제나 시상의 종류 중 하나) appell.. 2020. 12. 23.
의문사 관계사 지시사 비교와 예문 _ 고전 라틴어 의문사 관계사 지시사 비교 (라틴어) 1) 의문사, 관계사, 지시사의 비교 아래 설명에서①번은 의문사(Interrogative)이고,②번은 관계사(Relative)이며,③번은 지시사(Demonstrative)이다.   ① quis? 누가(who?) ② quī ~인 사람은(who) * 의문형용사로도 쓰인다.③ is 저것은(that)   ① quantus? 얼마나 큰(how great), 얼마나 많은(how much?) ② quantus ~한 만큼 큰(how great), 그 만큼(as) ③ tantus 그 만큼 큰(so great, as great)   ① quālis? 어떤 종류의(of what sort?) ② quālis ~한 만큼(as) ③ tālis 그러한(such [sort])   ① ubi? 어.. 2020. 12. 23.
의문 형용사와 지시 형용사 _ 고전 라틴어 라틴어 의문 형용사와 지시 형용사 1) 의문 형용사와 지시 형용사* 의문 형용사 : interrogative adjective* 지시 형용사 : demonstrative adjective뒤에 수식하는 말이 오면 형용사적으로 쓰이고, 단독으로는 명사나 대명사처럼 쓰인다. 대명사로 분류하기도 한다. 지시형용사와 지시대명사의 구별은 경계가 모호하다. 형용사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뒤에 오는 명사에 따라 성수격이 바뀐다(Gender, Number, Case will be determined by the noun it modifies). 가장 전형적인 의문형용사는 quī, quae, quod(어느 ~)이다. quī는 관계대명사로도 쓰인다.   2) 의문 형용사uter, utra, utrum : 둘 중의 어느 ~.. 2020. 12. 23.
방향과 관련된 지시사(라틴어) 방향과 관련된 지시사(지시부사) hīc 여기에(here) hūc 여기로  hinc 여기로부터  illīc 저기에illūc 저기로  illinc 저기로부터  ibi 거기에, 그곳에  eō 그곳으로, 그곳에  inde 거기로부터 ubi? 어디에서? quō? 어디로?  unde? 어디로부터? eā 거기에illī 거기에, 거기로, 저쪽에 illim 저기로부터, 거기서부터 illoc 거기에, 저쪽에, 저기에 abinde 거기서부터, 그때부터 inibi 거기에, 거기로, 저쪽에 eccerē 거기에, 거기로, 저쪽에 adhoc 여태까지는abhinc ~전, ~이래로 quandō 언제? quousque 얼마나 멀리?ubinam 어디든지, 어니서나  라틴어 대명사 카테고리 글 목록라틴어 대명사 카테고리 글 목록 지시대명사.. 2020. 12. 23.
관계대명사 quī, quae, quod : ~하는, ~인 quī, quae, quod 관계대명사, 의문형용사 1) 뜻 기본형 : quī, quae, quodⓐ ~하는, ~인(관계대명사, who, which) ⓑ 어떤~?, 무슨 ~?(의문형용사)① quī는 관계대명사, 관계형용사, 의문형용사 등으로 쓰인다.② 앞의 선행사(명사상당어)를 수식하는 경우 관사계절은 형용사절이 되기 때문에,  우리말 번역은 '~하는' '~인' 등으로 모두 똑 같다.③ 앞에 선행사가 없는 경우 명사절로 쓰인다. ④ quod(~때문에, ~그결과~)는 중성 대격이 접속부사로 사용되기도 한다.(참고)ⓐ quī, quae, quod : 관계대명사, 의문형용사ⓑ quis, quid : 의문대명사(남여성형 단수 변화가 서로 같다) 2) quī의 격변화격변화(남성, 여성, 중성 순) 단수 주격 : .. 2020. 12. 19.
의문대명사 quis, quid; 어느, 누구, 무엇. 의문대명사 quis, quid : 어느, 누구, 무엇.   1) 뜻① 어느, 누구, 무엇 ② 누군가, 무엇인가, 아무☞ 단수에서는 남여성형이 서로 같고, 복수에서는 어형이 다르다.참고 :  관계대명사 quī, quae, quod : ~하는, ~인 (의문형용사)  1) quis의 남성형 변화  (1) 단수 주격 quis, 누가 속격 cuius, 누구의 여격 cui, 누구에게 대격 quem, 누구를 탈격 quō, 누구로   (2) 복수 주격 quī, 누구들이 속격 quōrum, 누구들의 여격 quibus, 누구들에게 대격 quōs, 누구들을 탈격 quibus, 누구들로 2) quis의 여성형 변화   (1) 단수 주격 quis, 누가 속격 cuius, 누구의 여격 cui, 누구에게 대격 quem, 누구를 탈.. 2020. 12. 19.
재귀대명사 sui와 강조대명사 ipse, ipsa, ipsum - 그 자신(itself), 그 자신(himself), 그녀 자신(herself) 라틴어 재귀대명사 suī 와 강조대명사 ipse, ipsa, ipsum 1) 라틴어 재귀대명사 suī 뜻 : 그 자신(itself) 그 자신(himself) 그녀 자신(herself) 단수형과 복수형이 서로 같고, 남성 여성 중성형이 서로 같다. (1) 단수 주격 — 속격 suī 여격 sibi 대격 sē [sēsē] 탈격 sē [sēsē] (2) 복수 주격 — 속격 suī 여격 sibi 대격 sē [sēsē] 탈격 sē [sēsē ] 2) suī와 ipse의 비교 ipse, ipsa, ipsum 뜻 : 그 자체, 바로 그~ (1) ipse는 주격이 있으며 주어를 강조하므로 강조대명사라고 한다. ipse vēnit. 바로 그가 왔다. (참고 : venit는 현재 3인칭 단수) ipse vēnit. 바로 그.. 2020. 12. 19.
인칭대명사 ego(내가), nos(우리가), tu(당신이), vos(당신들이), is(그가), ei(그들이, ii) 인칭대명사 ego(내가), nos(우리가), tu(당신이), vos(당신들이), is(그가), ei(그들이,  ii)  1) 1인칭 대명사 (1) 단수 : ego주격 ego(에고), 내가속격 meī(메이-), 나의(속격 목적어나 부분의 속격을 나타낼 때 사용)여격 mihi(미히), michi(미키), 나에게대격 mē(메-), 나를탈격 mē(메-), 나로 (2) 복수 nos주격 nōs(노-스), 우리들이속격 nostrī(노스뜨리-) 우리의(속격 목적어), nostrum(노스뜨룽-), 우리들 중~(부분의 속격)여격 nōbīs(노-비-스), 우리들에게대격 nōs(노-스), 우리들을탈격 nōbīs(노-비-스), 우리들로 2) 2인칭 대명사 (1) 단수 tu주격 tū(뚜-), 네가속격 tuī(뚜이-), 너의(속격.. 2020. 12.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