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액센트 규칙
<표시에 대한 설명>
아래 기호는 학습을 위해서 사용할 뿐, 실제 라틴어 문장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ō – 글자 위의 작대기 표시는 장모음을 나타냄.
ĕ - 글자 위의 갈매기 표시는 단모음을 나타냄(여기서는 주로 생략함).
á – 글자 위의 삐침표시는 강세를 나타냄(학습의 편의를 위해 일부 단어에 표시함)
oé – 이중모음은 뒤에 있는 모음에 강세를 표시한다. 고대 그리스어도 마찬가지임.
1) 라틴어 액센트의 기본규칙
라틴어 강세규칙은 비교적 단순하다.
(1) 모든 2음절어는 1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cá-nō (까노-) 나는 노래한다,
dṓ-num (도-눔~) 선물, )
fér-re(페르레) 가져오다 견디다
☞ 모든 단음절어는 해당 음절을 구성하는 모음에 액센트가 온다.
est (에스뜨) ~이다.
☞ 언급할 필요도 없는 사항이지만, 한국어로 표기할 때는 '편의상' 없는 모음 '으'가 추가되면서 3음절어로 나타내므로 발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2) 3음절 이상의 단어에서는 끝에서 2번째 음절이 장음절(장모음, 이중모음, 모음+자음, 자음+모음+자음)이면 해당 음절에 강세가 온다.
(1) 끝에서 2번째 음절이 장모음; Rō-mā́-nus (로-마-누스) 로마의, 로마인의
(2) 끝에서 2번째 음절이 이중모음; a-moé-na(아모이나) 즐거운. (oe가 이중모음)
(3) 끝에서 2번째 음절이 모음+자음; in-tér-dum(인떼르둠~) 때때로. (ter가 자음+모음+자음, 단어 끝에 m이 오면서 비음이 되고 마지막 음절도 장음으로 바뀜), pu-él-la (뿌엘라) 소녀(el이 모음+자음)
☞ 모음+자음이 포함된 음절이 장음절이 되려면 뒤에 자음이 이어져야 한다. 낱말 끝에 오는 '모음+자음', '자음+모음+자음' 등은 단음절이다.
(3) 3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끝에서 2번째 음절이 단음절이면 끝에서 3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
pe-cú-ni-a(뻬꾸니아) 돈, 화폐 (4음절어)
proé-li-um(쁘로일리움-) 전투
pó-pu-lus (뽀뿔루스) 사람들
2) 장음절을 결정할 때 주의할 점
(1) 장음절의 종류
음절의 장단은 발음할 때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나눈다. 장음절은 단음절보다 2배 길게 발음한다.
ⓐ 장모음이나 이중모음이 있는 음절
ⓑ 모음+자음 - 모음+자음이 포함된 음절은 뒤에 자음이 이어질 때 장음절로 분류된다.
pu-él-las = pu(단음절)-él(장음절)-las(단음절)
mag-nus = mag(장음절)-nus(단음절)
fi-des = fi(단음절)-des(단음절)
ty-ran-nus = ty(단음절)-ran(장음절)-nus(단음절)
(2) 파열음 + 유음 : pl, cl, tl, pr, cr, tr...
p, b, c, g, t, d(파열음) + l, r(유음)이 나란히 있으면 두 자음을 분리하지 않으며, 단음절로 취급하고 음절을 나눌 때에도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한다. 따라서 pl, cl, tl, pr, cr, tr 등의 자음 앞에 단모음이 있으면 그 앞의 음절은 단음절(열린음절)이 된다.
patrem → pa-trem(빠뜨렘~);
castra → cas-tra(까스뜨라).
그러나 상황에 따라 두 자음을 분리하여 폐쇄음 자음을 앞의 모음에 결합하여 앞음절을 장음절(닫힌음절)로 만들기도 한다. 라틴어 시에서는 같은 글에서도 운율을 맞추기 위해 2가지 형태가 다 쓰인 예도 있다.
예1)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아스] 중 pa-tris(열린 음절, pa가 단음절), pāt-rem(닫힌음절 – pat가 장음절)
예2) 오비디우스의 [변신] 중 vo-lu-cri(lu가 단음절), vo-lūc-ris(lūc이 장음절)
열린음절 - 모음으로 끝나는 음절이며 소리를 낼 때 입이 벌려진 상태에서 끝남.
닫힌음절 - 파열음(p b c g t d)으로 끝나는 음절(pāt을 발음할 때 '빹'하고 소리가 멈춘다)
(3) 이중자음 x, z
x[ks]와 z[ds or sd]는 이중자음으로 본다. 단모음+x, 단모음+z는 장음절이다. 앞에 오는 모음에 붙혀서 분절하다.
ax-is, gaz-a, tēx-ī
(4) qu[kw]는 단자음으로 본다.
sequor → se-quor(세-꾸오르) ~를 따르다(탈형동사).
* '꾸오르'에서 모음 '우'와 모음 '으'는 한글표기를 위하여 임의로 추가한 것이며, 이 음절의 모음은 o이다.
(5) h는 강세를 결정하는 경우에 하나의 자음으로 따로 분류하지 않는다.
(6) 합성어도 한 단어로 간주되므로, 원칙적으로 기본 규칙을 따른다.
ⓐ 아래 후치접어의 예와 같이 합성어가 하나의 정형화된 낱말이 아닐 때는 예외가 있다.
ⓑ 전치사가 포함된 합성어의 경우 합성된 부분에서 음절을 나눈다.
(7) 끝의 모음이 생략된 단어는 액센트가 변하지 않는다.(주로 G M 레인 참조함)
ⓐ dīc과 dūc의 합성어 :
ēdū́c(= ēdū́ce, 밖으로 이끌어라, ēdūcō의 현재 명령법 능동)
prōdū́c(= prōdū́ce, 앞으로 이끌어라, prōdūcō의 현재 명령법 능동)
ⓑ ās, -īs(← -ātis, -ītis)
축약 : Arpīnā́s (Arpīnā́tis); Laenā́s; Maecēnā́s; Quirī́s; Samnī́s; nostrā́s, vostrā́s
ⓒ-ce와 -ne에서 e가 생략된 경우 :
illī́c ← illī́ce(ille + -ce, 그, 그것, 저기에, 저넘어)
illū́c(저기까지, ille + -ce)
istī́c(iste + -ce, 바로 이것, 대명사)
satín ← satísne(~하냐? 의문부사, satis 충분한 + -ne)
ⓓ 기타 : audī́t가 audīvit의 축약일 경우 등등
* aúdit(그는 듣고 있다, 현재 3인칭 단수)
* audī́t = audīvit (그는 들었다, 완료 3인칭 단수)
3) 후치접어(enclitic)와 액센트
후치접어(enclitic, 전접어) -que, -ve, -ne, -ce 등으로 끝나는 단어는 접어 바로 앞 음절에, 장단과 상관없이, 액센트가 온다. (알렌 & 그리노, 성염). 이미 하나의 단어로 굳어지면 기본규칙을 따른다.
* 어떤 문법서는 합성어로 간주하여 기본규칙을 따른다고 설명하기도 한다(Bennett). G. M. 레인은 이 부분의 액센트 규칙에 모호한 부분이 있다고 하면서 기본규칙을 따른다고 한다(섹션 93)
(1) -que : ~과 (접속 후접접어, 접속 전접어)
itaque, 그래서(and so), 그러므로(therefore). 부사
quotiēnscumque, 아무리 자주 ~(however often), ~할 때마다(whenever)
miseróque
hominisque
rosáque(로사꾸에) 장미와, et rosa
plēráque : 대부분의 것들과, 대부분의 사람들과
* plērus, plēra, plērum 대부분의, 거의 모든
(2) -ve : 또는. 접속 후치접어
nēve, 그리고 ~아니다( and not), 또한 ~아니다(nor)
aliáve, 그리고 다른 ~가
(3) –ne : 의문 후치접어
nṓnne ~하지 않나? 긍정의 답을 기대하는 의문부사
vidḗsne (← vídēs)
(4) -ce : 강조 후치접어(intensive enclitic)
(참고) 이미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것은 기본규칙을 따른다(=합성어도 기본 규칙을 따른다).
utérque, útraque, utrúmque(뜻 : 둘다 각각, 둘이 서로) : 일반적인 액센트 규칙을 따른다.
útraque(대명사)는 뒤에서 3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지만, 탈격 utrā́que는 뒤에서 2번째 음절이 장음절이므로 que 바로 앞 음절에 액센트가 온다.
utérque, utrúmque, utrā́que : 뒤에서 2번째 음절이 장음절이다.
útraque : tra가 단음절이므로 뒤에서 3번째 음절에 액센트가 온다.
populúsque, deáque, rēgnáve, audítne
* 다른 격의 액센트의 위치에 영향을 받은 유추에 의한 동일화로 설명하기도 한다(Bennett) plēráque(모두, 중성 복수)도 útraque와 같은 경우이다.
<어휘>
uter, utra, utrum의 단수 변화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 호격 순)
뜻 : 둘 중의 어느 것이?(의문형용사) , 둘 다(형용사)
남성 : uter, utrīus, utrī, utrum, utrō, uter
여성 : utra, utrīus, utrī, utram, utrā, utra
중성 : utrum, utrīus, utrī, utrum, utrō, utrum
─ 아래 내용은 문법책에 따라 다루지 않기도 하고 설명이 다르기도 한다. 이미 사어가 된 라틴어에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
4) 액센트 규칙 추가 사항
(1) faciō의 합성어 - benefácit, calefácit 등은 합성어이지만, 두 단어를 붙혀 쓴 일종의 구로 보고 분리하여 읽는다(알렌 & 그리노).
☞ 학습서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부분이 아니므로 통일된 견해는 아닌 듯하다.
(예1) benefacit (베네파끼뜨)
☞ 액센트가 fa에 온다. 일반규칙을 따르면 ne에 액센트가 오는 것이 맞다.
* 기본형 : benefaciō, benefacere, benefēcī, benefactum : 혜택을 주다, 잘해주다
* 어원 : bene (잘) + faciō (하다, 만들다)
(예2) calē̆facit (깔레-파끼뜨)
☞ 액센트가 fa에 온다. 일반규칙을 따른다면 lē̆에 액센트가 온다.
* 기본형 : calē̆faciō, calē̆facere, calē̆fēcī, calē̆factum 데우다, 열나게하다. 충동하다(3io변화)
*어원 : caleō(열) + faciō(만들다)
* ē̆ : 장음 단음 가변성을 표시하는 기호
◈ 합성어도 일반적인 규칙을 따른다.
아래 예들은 전치사가 포함된 합성어이지만 일반규칙을 따르는 예이다.
īnferō (인-페로-) /ˈin.fe.roː/, [ˈĩːfɛroː] (윅셔너리 라틴어 사전)
ínfero 가져오다, 집어넣다(카톨릭대 라틴어 사전)
* 어원 : in- (~로) + ferō(운반하다)
interrogō (인떼르로고-) /inˈter.ro.ɡoː/ (질문하다)(윅셔너리 라틴어 사전)
intérrŏgo(카톨릭대 라틴어 사전)
* 어원 : inter (~사이에) + rogō(묻다)
합성어에서 액센트 규칙의 예외가 발생하는 것은 말하는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합성어를 2개의 단어로 인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만일 잘 모르겠으면 일반규칙을 따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2) 명사 2변화 중 -ius와 -ium으로 끝나는 말의 속격과 호격의 액센트는 주격과 같다.
Vergílī, ingénī, Valérī, Mercúrī
Valerius, Valeriī or Valerī, m. 발레리우스(로마의 남자이름)
Vergilius, Vergiliī or Vergilī, m. 베르길리우스
ingenium, ingeniī or ingenī, n. 본성, 성격(명사 2변화)
☞ Vergílī와 Valérī 등은 아우구스투스 이전에 보이는 형태이다. Vergiliī와 Valeriī 등의 형태로 기억하면 액센트 규칙에 맞으므로 별도로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3) io가 포함된 어간에서 단어 끝이 ī 로 끝나는 속격과 호격 (레인 88)
cōnsílī, impérī
* cōnsilium cōnsiliī [cōnsilī], n. 집정관
* imperium, imperiī [imperī], n. 힘, 지휘권, 정부, 국가
☞ cōnsiliī, imperiī 등이 표준형으로 쓰이므로 별도로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
4) 마지막 3개의 음절 - 안티피널트, 피널트, 얼티마
마지막 음절을 얼티마(ultima)라 하고, 끝에서 2번째 음절을 피널트(penult), 끝에서 3번째 음절을 안티피널트(antepenult)라고 한다. 3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피널트(2번째)가 장음절이면 피널트에 강세가 오고, 피널트가 단음절이면 안티피널트(3번째)에 강세가 온다. 만약 강의 등에서 반복적으로 설명할 때는 “단어의 끝에서부터 몇 번째 어쩌고~”하면서 길게 설명하는 것보다는 낯설기는 하지만 이런 용어를 약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편할 수 있다.
Eu-rō-pa(에우로-빠)에서 pa가 얼티마, rō는 피널트, Eu가 안티피널트이다. 강세 규칙에 따르면 피널트(rō)가 장음절이므로 이 단어는 피널트에 강세가 온다.
pe-cū-ni-a(뻬꾸니아; 돈, money) - 피널트 ni가 단음절이므로 안티피널트인 cū에 강세가 온다.
라틴어 액센트는 마지막 음절과 끝에서 세번째보다 앞의 음절에는 강세가 없다. 구어체 문장에 마지막 음절에 액센트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생략형이기 때문이다.
고전 라틴어 액센트 규칙은 비교적 간단명료하다. 우선 여기까지만 기억하면 된다. 복잡하고 규칙도 많고 예외도 많은 영어의 액센트 규칙에 비하면 쉽다.
5) 라틴어 발음에서 주의할 점
영어보다는 우리말이 원래의 고전 라틴어를 흉내내기에 더 유리하다. 라틴어는 경음 위주의 소리를 내고, 격음(기식음)은 드물다. 반면 영어는 경음과 격음을 따로 구별하지 않으며 기본적으로 격음 위주로 발음한다. 다시 말해 영어의 t(트) k(크) p(프) 등의 음에는 ㅎ음(h sound)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식 고전 라틴어가 성립되기를 기대한다. 키케로 시대의 로마인들이 살아 돌아와서 우리의 발음을 지적할 리도 없고, 원래 언어라는게 평안도 방언, 함경도 방언, 서울 방언, 전라도 방언, 경상도 방언 등이 따로 있듯이 고전 라틴어 한국 방언이 존재한다고 해서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라틴어 문법 _ 어형론 > 라틴어 알파벳과 발음(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틴어 eu나 헬라어 ευ의 발음에 대하여 (0) | 2020.12.05 |
---|---|
라틴어 알파벳 V의 발음에 대하여 (0) | 2020.11.21 |
라틴어 음절 나누기 (0) | 2020.07.29 |
고전 라틴어 발음 정리 - 알파벳 순 (2) | 2020.07.29 |
라틴어 철자 읽는 법 (0) | 2020.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