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한 문장/라틴어 한 문장 1

자신이 태어나기 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모른다면 항상 아이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키케로).

임메르시오 2020. 6. 19. 12:51
728x90

 

Nescire autem quid antequam natus sis acciderit, id est semper esse puerum (Cicero)

Nescīre autem quid antequam nātus sīs acciderit, id est semper esse puerum(Cicero, Brutus Orator).

네스-레 우뗌~ 드 안구암~ -뚜스 -스 앆데리뜨, 드 스뜨 뻬르 세 에룸~. (께로)

(뜻) 자신이 태어나기 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모른다면 항상 아이 상태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 키케로
(직역) 그러나 당신이 태어나기 전에 무순 일이 일어났는지 모른다는 것은 항상 아이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To be ignorant of what occurred before you were born is to remain always a child.
However, to not know what happened before you were born, that is to always be a child.
Not to know what happened before you were born is to be forever a child.

[어휘]


nescīre, 모르는 것(nesciō의 부정사 현재 능동)
nesciō, nescīre, nescīvī, nescītum (4변화 동사)
뜻 ;
모르다, 무지하다, 이해하지 못하다.

autem, 그러나, 하지만, 반면에, 게다가, 또한, 더욱이, 다른 편으로는, 대조적으로
(접속사)

quid, 무엇인지~ (의문사 quis의 중성 단수 주격)
어느, 누구, 무엇, 누군가, 무엇인가, 아무

참고 : 관계사와 의문사 
latinandgreek.tistory.com/85

antequam, ~하기 전에, ~하기까지(접속사)

nātus sīs, (너는) 태어났다(완료 접속법 능동 단수 2인칭)
기본형 ; nāscor, nāscī, nātus sum (3변화 동사)
뜻 : 태어나다, 나다, 일어나다, 나타나다, 생겨나다, 자라다, 성장하다,

acciderit, 발생했을 것이다. (accīdō의 직설법 미래완료 능동 3인칭 단수)
accidō, accidere, accidī(3변화)
뜻 : (타동사) ~로 내려가다, (자동사) 발생하다

Nescire autem quid (antequam natus sis) acciderit : 부정사구

id, 그, 그것(Nescire autem quid antequam natus sis acciderit)
(is의 중성 단수 주격)

est ~이다 (sum의 직설법 현재 능동 3인칭 단수)

semper esse puerum는 부정사구

 

semper, 항상, 늘, 영원히(부사형)

esse ~인 것 (sum의 현재부정사 능동)

puerum 남자아이 (부정사 esse의 의미상 주어, puer의 남성 단수 대격) 

CICERO, ORATOR AD M. BRUTUM (ORATOR, xxxiv. 119-121)

<라틴어 발음 상 주의할 점> 
* 빨간 글자(또는 굵은 글자)는 강세를 나타내며, '-'는 장모음 표시이다. 
* 라틴어 단어 끝에 쓰이는 -am, -um, -em, -im 등의 발음은 콧소리로 바뀌고 장음으로 바뀐다. 끝에 ㅁ은 뒤에 모음이 이어지지 않으면 잘 들리지 않는다. 특히 -um은 '옴~' 또는 '오~옴'처럼 들린다. 이 때문인지 고전 라틴어에서는 -om으로 끝나는 단어는 없다고 한다. 
* 라틴어에서 h는 약하거나 거의 들리지 않게 발음한다.   
* 쌍자음이 있을 때는 모두 발음한다(자음을 길게 발음한다). ll은 l과 구별하기 위해 우리말의 특성상 -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 v(우)나 일부 i(이)는 반자음이므로 뒤에 이어지는 모음과 결합하여 약하게 발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자음 '이'나 '우'는 소리를 내지 않고 입모양을 만든 다음 뒤의 모음을 발음하는 것이 정확한 발음에 더 가깝다.  
* 자음 뒤에 모음이 없는 경우 우리말 '으'나 '우' 모음을 추가하여 발음을 표시하였으므로 '으' '우'를 끊어서 또렸하게 발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728x90
반응형